반응형

전체 글 374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4일차 : 영덕? 영덕!

2022.10.09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4일차 후포에서 강구까지 울릉도 일정으로 인해 루트가 조금 엉망이 되었지만 우린 울진군 후포에서 영덕군 강구로 이동을 했다. 울릉도로 넘어가기 위해 포항에서 후포로 바로 뛰어넘었는데 그냥 후포에서 위로 쭉 올라갈지 아니면 내려가 영덕을 보고 다시 올라갈지 고민한 끝에 우린 여기까지 온 김에 영덕을 한번 보고 가자며 영덕으로 향했다. 그리고 이 선택이 동해안 여행 중 최고로 잘한 일 중 하나였다고 생각한다. 영덕 강구터미널에 도착해 터미널 바로 옆에 있는 김밥천국에서 밥을 먹었다. 어제 먹었던 뼈해장국으로 입맛을 잃어버리고 먹은 오므라이스와 라볶이가 이렇게 맛있게 느껴질 줄이야. 역시 대기업, 프랜차이즈 레시피가 최고.. 경북 영덕군 강구면 동해대로 4495 ..

참외 효능과 부작용 칼로리 및 참외껍질 효과

참외 효능 부작용 칼로리 참외껍질 효과 여름철 가장 인기있는 과일을 떠올리면 수박과 참외가 생각나는데요. 그 중 참외는 6~8월 제철과일로 달콤하고 시원한 맛과 각종 영양가가 많은 과일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참외 효능과 부작용 칼로리 그리고 참외껍질 효과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외의 효능 피로회복 참외에는 포도당과 과당이 함유되어있는데 이 성분들은 체내에서 흡수가 빨라 피로해소에 도움이 되며, 비타민 C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만성피로에도 도움이 됩니다. 간 기능 개선 참외에는 간의 해독기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쿠쿠르비타신성분이 함유되어있으며 과육보다는 껍질에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암 예방 베타카로틴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것을 막아주며 암세포의 증식을 늦춰주는 ..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3일차 : 육지가 최고야

2022.10.08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3일차 울릉도에서 강제 3박 4일 (3) 와. 우리가 떠나는 날 결국 울릉도에 해가 떠버리고 말았다. 그렇게 원하고 원했는데 마지막날 해가 뜨다니. 그래도 이렇게 해가 쨍한 울릉도의 모습을 봤으니 좋은거겠지? 강제 1박 후 날이 너무 좋았지만 오늘 떠나야하는 우리는 시간관계상 멀리 다녀오기가 어려워 도동항 근처에 있는 독도전망 케이블카를 타기로했다. 사실 케이블카 이런거 안 좋아하는 스타일인데 그래도 빠르고 쉽게 울릉도를 즐기 수 있다는 생각에 선택했다. 독도전망케이블카를 타기전 도동항 근처 선물가게에서 선물을 산 뒤 가방을 맡기고 꽤나 길었다 오르막길을 올라 매표소에 도착했다. 케이블카를 타러 온 사람들은 대부분이 부모님뻘되는 단체 관광객이였는데 너무 시끄..

산딸기 효능과 부작용 및 세척방법과 보관법

6~7월 제철과일 산딸기 효능과 부작용 및 세척방법과 보관법 산딸기는 장미과에 속하며 6~7월이 제철이라고 합니다. 영어로는 raspberry 라즈베리입니다. 둥근모양의 산딸기는 탄수화물, 유기산, 비타민이 풍부하고 당과 산이 적절히 함유되어있어 영양과 맛이 모두 좋은 과일인데요. 동의보감에도 산딸기는 '기운을 보충하고 무거운 몸을 가볍게 해준다' 라고 기록되어있을 정도로 예로부터 인정받아온 과일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산딸기 효능과 부작용 및 세척방법과 보관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지직송 푸드베이스 산딸기 COUPANG www.coupang.com 산딸기 효능 면역력 향상 산딸기에는 비타민과 안토시아닌 등이 풍부한데요. 풍부한 비타민C는 피로를 풀어주고 피부미용에도 좋습니다. 안토시아닌 선분..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2일차 : 도망치고싶다

2022.10.07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2일차 울릉도에서 강제 3박 4일 (2) 일단 우리가 타고 갈 크루즈가 결항되었다는건 알고 있었는데 일어나서 사장님 울릉군 알리미와 사장님 이야기를 들어보니 호우 및 강풍 주의보로 밖으로 나가기도 힘든 상황이라고 했다. 이게 대체 무슨일인가.. 진짜 울릉도 여행은 예상치못한 일들이 계속해서 일어났고 밖으로 나가는거 자체가 위험하다는 판단하에 우리는 숙소에 머물렀다. 그래도 밥은 먹어야겠다는 생각에 비바람이 조금 잠잠해졌을때 밖으로 나가보았다. 전 날 산사태의 흔적까지 보이며 작은 돌덩이들과 흙탕물이 흘러내리고 있었다. 우린 근처 김밥집을 가보기로했는데 다행히 문이 열려있었다. 김밥 두줄을 사서 후다닥 숙소로 돌아왔다. 여기 사장님도 굉장히 친절하고 김밥도 맛..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1일차 : 답답할 鬱, 울릉도

2022.10.06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1일차 울릉도에서 강제 3박 4일 전 날 열심히 이동하고 피곤해서 그랬는지 기절을 해버렸다. 사실 오늘 예약해두었던 독도행 배는 결국 취소되었고 사실 비오면 할거 없다는 울릉도에서 우리에게는 몇 가지 옵션이 있었는데 그 중 나리분지에 가보기로 했다. 일단 우리가 있는 저동에서 천부까지 가서 나리분지로 가는 버스로 갈아타면된다. 울릉도는 버스가 몇대 없는데 대부분의 버스가 섬을 한바퀴 도는 노선이기때문에 자기가 어디에 가야할지만 안다면 아주 단순한 노선이다. 다만 처음에는 헷갈리기가 쉽다. 사실 나도 마지막날까지 저 버스 시간표를 손에서 놓지 못했다. 우리는 저동에서 버스를 타고 천부에서 내린 뒤 나리분지행 버스를 탔다. 가는 동안에는 비가 내리지 않더니 나리..

거지방 뜻과 의미 장단점 및 오픈채팅, 참여코드

새로운 절약 트렌드 거지방 뜻과 장단점, 오픈채팅, 참여코드 짠테크, 무지출 챌린지에 이어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으로 하루의 소비와 지출을 공유하며 절약을 함께 실천하는 거지방이 뜨고있는데요. 이번시간엔 새로운 절약 트렌드인 거지방의 뜻과 장단점 그리고 오픈채팅 참여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지방 뜻 요즘 2030세대에서 뜨고 있는 거지방에서는 서로의 지출내역을 공유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서로의 충동구매를 막아주거나 돈을 절약할 수 있는 생활 속 꿀팁 등을 공유하기도 한다고 합니다. 거지방이라고 이름이 붙은 의유는 크게 두가지인데요. 첫번째로 절약을 위해 오픈채팅에 참여하는 스스로를 거지라고 부르는 자조적인 의미가 있고, 두번째는 거지처럼 극단적으로 돈을 아끼는 방이라는 목적을 드러내는 의미로..

잘파세대 젤파 Zalpha 뜻,나이,특징 및 MZ세대와의 차이점

잘파세대 젤파세대 뜻, 나이, 특징 MZ세대를 뒤이어 잘파세대가 또다른 유행이 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MZ세대는 옛말이라고 하니 한국 트렌드의 속도가 어마어마합니다. 이번시간에는 잘파세대 (Zalpha)의 뜻, 나이, 특징 그리고 MZ세대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잘파세대 뜻 잘파세대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출생한 세대를 의미하는 Z세대와 2010년대 초반 이후 출생한 세대를 의미하는 알파세대의 합성어로, 한마디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출생한 세대를 가리킨다. Z + Alpha = Zalpha MZ세대와의 차이점 잘파세대와 MZ세대의 차이점은 성장 환경과 가치관에 있는데요. 위에서 설명했듯이 잘파세대는 1990년대 중반부터 2010년 이후에 출생한 Z세대와 알파세대를..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0일차 : 울렁울렁 울릉도

2022.10.05 2022 동해안 도보여행 10일차 후포항에서 울릉도까지 다행히 아침에는 비가 많이 내리지는 않았다. 비바람이 불면 파도가 심해 배가 못뜬다는 말이 있었는데 후포에서 출발하는 배는 크루즈다보니 커서 결항될 가능성이 적다고는 했다. 그렇게 우리는 울릉도에 들어 갈 수 있게 되었다. 미리 예약해둔 표를 창구에서 승선권으로 바꾼 뒤 여객터미널을 한바퀴 돌아보고 앉아서 기다리기로했다. 우리가 일찍 도착해서 처음에는 사람이 많지 않았는데 관광버스들이 하나 둘 몰려오더니 장년과 노년의 단체 관광객들이 우르르 내리기 시작했다. 아무래도 후포에서 출발하다보니 경상도민들이 이쪽 항구를 많이 이용하는거 같았다. 서울에서 갈 경우는 강릉을 이용해서 많이 간다고 한다. 배에 탑승하기 30분전 멀미약을 먹고 ..

한국식 나이 폐지, 만나이 도입/계산기/계산법/적용시기는?

한국식 나이가 폐지됩니다. 만나이 계산법과 적용시기는? 안녕하세요. 2023년 6월부터 한국식 세는 나이가 아닌 만나이가 도입된다는거 알고 계셨나요? 이번시간에는 한국식 나이가 폐지되고 만 나이가 도입 되는 날짜와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만 나이 적용시기 한국식 나이인 '세는 나이'는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유일하며 매년 1월 1일을 기점으로 한 살씩 더하는 것으로 태어난 해부터 한살이되고 새해마다 한 살씩 증가하는게 한국식 나이 계산법이다. 한국식 나이는 아무래로 국제적으로 보았을때는 여러 혼란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만 나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이 들어갔는데 오래전 부터 쓰던 한국식 나이를 바꾸기는 쉽지않았습니다. 그러나, 2023년 6월 28일부터 무조건 표기를 만 나이로 하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