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이사 시즌!
이사준비 체크리스트 및 꿀팁
안녕하세요.
날이 풀리고 봄이 찾아오면서 이사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아지는데요. 이사는 새로운 곳에 간다는 설레임도 있지만 동시에 바쁜 일정 속 복잡한 이사 준비과정으로 피곤하시기도 하실텐데요.
오늘은 다가오는 이사철 이사준비 체크리스트 및 꿀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사업체 선정하기
이사 날짜가 정해지면 이사업체를 선정하고 예약하는게 가장 먼저인데요.
업체마다 서비스 및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최소 2~3군데 이상 견적을 받아 비교해보는게 좋습니다.
이사는 대부분 일반/포장/반포장 이사로 진행되는데요.
이사방식이 정해지면 이사업체를 통해 방문견적을 받거나, 요즘은 온라인으로 이사짐 사진이나 정확한 사이즈를 전달해 견적을 받을 수 있으니 조건이나 비용을 잘 비교하여 업체를 선정하는게 좋습니다.
가구배치와 입주청소
사전에 이사가는 곳에 도면을 살펴 부피가 큰 가구들이 들어갈 장소나 콘센트의 위치를 표기한 뒤 간단하게 가구배치를 생각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도배나 장판 등 인테리어나 입주청소 서비스도 미리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쓰는 물건 정리하기
이사 전 가장 중요한 일 중에 하나는 안쓰는 물건정리입니다.
안쓰는 물건은 앞으로도 잘 안쓰기 때문에 불필요한 물품은 이사를 기회로 과감하게 정리하는게 좋습니다.
안입는 옷이나 물건들은 중고 판매 또는 기부를 할 수 있는데요.
아름다운 가게에 기부 시 소득공제 혜택도 있다고 하니 활용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또 냉장고나 TV, 책상, 옷장 등 부피가 크고 오래된 물건들 수거는 관할 시, 군, 구청 누리집에서 신청 가능하고 그 외에 폐가전은 무료 수거 신청도 가능합니다.
주소변경 신청하기
주소를 변경하지 않으면 우편물 반송, 분실 등이 발생 할 수 있으니 이사 전 반드시 변경해야합니다.
우체국의 '우편물 주소지 변경 서비스'를 이용하면 인터넷으로도 편리하게 변경이 가능합니다.
냉장고 정리
이사 한달 전부터 냉장고 파먹기로 냉장고를 정리하고 이사 전 오랫동안 보관되어있었거나 상한 음식들이 있다면 미리 음식물 쓰레기봉투에 담아 배출해 두는것이 좋습니다.
공과금 정산(전기/가스/수도)
이사할때 잊지 말아야 할 것 중에 공과금 정산도 있는데요.
도시가스 요금정산은 이사 1~3일 전 해당지역 도시가스 고객센터에 퇴거 접수를 하시고, 거주하고 계신 주택 내 계량기에 적힌 숫자를 확인한 후 계량기의 숫자와 함께 주소를 알려주시면 가스비 정산을 할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은 이사 당일 정산해야하는데요.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 (국번없이 123)으로 전화하여 두꺼비집의 검침숫자를 불러주면 됩니다. 또 전화연결이 어려울 경우 스마트 한전 어플을 이용해 전기요금을 정산할 수도 있습니다.
수도요금은 관할 상수도사업본부 고객센터에 전화하려 정산문의를 하면 문자를 통해 정산금액과 계좌번호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고객센터 번호는 수도요금 납부 고지서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전입신고
전입신고란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주소지 변경 및 등록을 위한 전입사실을 새로운 거주기 관할 기관에 신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분증을 지참해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에 발문해 전입신고서를 작성 후 제출하면 끝입니다. 다만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남은 종량제봉투 활용하기
이사를 타지역으로 가게되면 이전에 사용하고 남은 종량제봉투 때문에 난감했는데요.
혹시라도 많이 남은 경우 동사무소에서 전입신고를 하고 나서 창구에 요청을 하면 타 지역봉투 사용 확인증 스티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쓰레기 봉투에 인증 스티커를 붙이면 타지역의 종량제 봉투라도 사용가능하니 꼭 챙기시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이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출처: 구글이미지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정보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진 발생 시 상황별 대피요령 및 지진대비방법 (0) | 2023.03.31 |
---|---|
깨끗한 집을 위한 정리정돈 방정리 방법 및 효과 (0) | 2023.03.30 |
막걸리와 동동주 차이? 제대로 알고마시자 (0) | 2023.03.29 |
최고급 아파트에 사는 스타들 순위 모음 (0) | 2022.01.28 |
만성치열 방치하지마세요! 증상과 예방법 (0) | 2022.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