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발생 시 상황별 대피요령 및 지진대비방법
안녕하세요. 이제는 더이상 다른 나라이야기가 아닌 지진. 우리나라에도 크고 작은 지진들이 많이 일어나고 있는데요.
이번시간에는 지진 발생 시 상황별 대피요령 및 지진 대비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진 발생 시 상황별 대피요령
학교에 있을때
책상 아래로 들어가 몸을 웅크리고 책상다리를 잡고 머리와 몸을 보호하고 흔들림이 멈출때까지 기다립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선생님의 안내에 따라 운동장으로 대피합니다. 이동 시 창문 유리가 깨질 위험이 있으니 창문과 떨어져 이동합니다.
고층 건물에 있을때
고층일 경우 흔들림이 더 크고 오래 지속될 수 있으므로 실내에서 떨어지는 물건에 더욱 주의해야합니다. 테이블 밑에 몸을 숨기고 흔들림이 멈출때까지 기다리며 대피시 계단을 이용합니다.
마트에 있을때
진열장에서 떨어지는 물건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계단이나 기둥 근처로 피합니다. 흔들림이 멈추면 안내에 따라 대피하고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있는 경우 손잡이를 잡고 앉아 몸을 웅크린 채 대기 후 대피합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있을때
지진 발생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절대 타면 안됩니다.
혹시라도 엘리베이터 안에 있는 경우 모든 층을 누른 후 가장 먼저 열리는 층에서 내린 후 계단을 이용해 대피하면 됩니다. 만약 엘리베이터 안에 갇힌 경우 인터폰이나 휴대전화를 이용하여 구조를 요청해야합니다. 무리하게 엘리베이터 문을 열고 내리려는 경우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전철을 타고 있을 때
일단 화물 선반이나 손잡이 등을 꼭잡아 몸이 넘어지지 않게 해야합니다. 만약 좌석에 앉아있다면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하고 서있는 경우 자세를 낮추어 몸을 보호합니다. 또한 문이 열렸을때 한꺼번에 몰려나가면 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니 질서있게 천천히 이동해야 합니다.
자동차를 타고 있을때
비상등을 켜고 서서히 속도를 줄여 도로 오른쪽에 차를 세우고 긴급차량을 위해 도로의 중앙부분을 비워둡니다. 라디오의 정보를 잘 듣고 대피해야할 때에는 열쇠를 꽂아두거나 놓아둔 채 문을 잠그지 않고 이동합니다.
산이나 바다에 있을때
돌이나 바위가 굴러 내려오거나 큰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으니 급한 경사지를 피해 평탄한 곳으로 대피합니다. 지진해일 특보가 발령될 경우 긴급대피장소 등 높은 곳으로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일상 속 지진 대비 방법
1. 탁자나 테이블 아래처럼 집 안에서 대피할 안전한 대피공간을 미리 파악하고 깨지거나 넘어지기 쉬운 가구 주변 위치를 파악해 평소에 집 안에서의 안전을 확보합니다.
2. 가구나 가전제품, 주방 찬장 속 그릇 등 집 안에서 떨어지기 쉬운 물건을 고정해 둡니다.
3. 가스 및 전기 그리고 건물 주변을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집을 안전하게 관리합니다.
4. 평상시 가족과의 회의를 통해 응급처치 방법과 주변의 학교, 공원 등 넓은 대피공간을 알아두고 비상시 가족과 만날 곳과 연락방법을 정해 위급한 상황을 대비합니다.
5. 지진에 대비하여 평소 비상용품을 잘 준비해두고 보관장소와 사용방법을 알아둡니다.
이 포스팅이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출처: 구글이미지, 국민재난안전포털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생활정보 및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잘파세대 젤파 Zalpha 뜻,나이,특징 및 MZ세대와의 차이점 (0) | 2023.04.25 |
---|---|
한국식 나이 폐지, 만나이 도입/계산기/계산법/적용시기는? (0) | 2023.04.24 |
깨끗한 집을 위한 정리정돈 방정리 방법 및 효과 (0) | 2023.03.30 |
봄철 이사 시즌! 이사준비 체크리스트 및 꿀팁 (0) | 2023.03.29 |
막걸리와 동동주 차이? 제대로 알고마시자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