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재테크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과 조건 및 청년희망적금 중복가능여부

강밈2 2023. 5. 10. 12:00
반응형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조건 

청년희망적금 중복가능?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들에게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매달 70만원 한도로 5년간 납입하면 정부지원금(최대 월 24,000원)과 비과세 택(15.4%)을 받을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출시될 예정니다.

 

 

 

 

청년도약계좌 조건


 

청년도약계좌 신청 자격조건은

 

 

 

첫번째,

만 19세~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6년인정)

 

 

 

두번째,

소득기준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인 청년

 

6,000만원 이하 : 정부 기여금 지급, 비과세가 적용

6,000만원 ~ 7,500만원 : 정부 기여금 없이 비과세만 적용

 

 

 

 

세번째,

가구소득 중위 180%이하

 

 

<중위소득 180%>

가구원 수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소득 기준 3,740,205원 6,221,079원 7,982,668원 9,721,735원 11,395,238원 13,010,365원

 

 

 

 

네번째,

직전 3개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가입 제한

 

(대상자는 이자소득, 배당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다섯번째,

소득이 있어야 함 (무직은 불가)

 

 

 

여섯번째,

공무원도 가입 가능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은 오는 6월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의무가입을 해야 정부의 매칭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5년 의무가입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 하는 경우에는 그 동안 받은 소득세 감면 세액까지 추징된다고 합니다.

 

 

가입 방법은 별도서류 준비없이 은행 어플 등에서 비대면 가입이 가능하도록 준비중이라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중복가능 여부


 

청년 내일저축계좌, 청년 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은 동시에 가입은 가능합니다.

 

 

그러나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후에 청년도약계좌에 가입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계좌만기 전 해지를 막기 위해 계좌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들을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글을 마치며


 

사실 매월 70만원씩 5년동안 저축하기는 쉽지 않을 수 있지만 적금 가입을 생각하던 청년이라면 시중은행보다 유리 할 수 있습니다.

 

 

자유적립식이니 최초에 70만원으로 시작했다가 금액을 줄여 납입해도 괜찮으니 고려해 볼만한 금융 상품 같습니다.

 

 

또한 실질이자율은 연간소득금액이 2400만원 이하의 경우는 18%로 상당히 괜찮을 수 있지만 4800만원 초과는 3.5%로 시중은행보다 못하기도 하니 이 또한 놓치지 말고 생각해 보시길 바랍니다.

 

 

 

 

 

이 포스팅이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출처: 구글이미지

반응형